청람과 수필41 지식, 사람에게서 온다. ■ 지식, 사람에게서 온다. 청람 김왕식물은 아래로 흐르고, 스승의 지혜는 제자의 가슴에 고요히 스며든다. 달삼은 오늘도 스승의 곁에 앉아, 세상의 본질을 배운다. "지식은 학교에서 배우지만, 지혜는 사람을 보고 배운다, " 스승의 말은 언제나 단단한 돌처럼 마음을 울린다. 그러던 날, 스승은 일본인의 성씨에 대한 기묘한 이야기를 꺼냈다."달삼아, 넌 일본의 성씨가 왜 그렇게 많은지 아느냐?" 스승은 조용히 웃으며 말을 이었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성씨를 가진 나라다. 대략 10만 개가 넘는다고 하지. 우리나라는 300개 남짓인데 말이다."달삼은 의아한 눈으로 바라봤다. 스승은 책장을 한 장 넘기며 이야기를 풀었다. "도요토미 히데요.. 2025. 4. 10. 찻잔 속의 시 한 줄 ■ 찻잔 속의 시 한 줄늦은 오후였다.작은 산골 마을에 봄이 슬며시 찾아오던 날, 달삼은 조심스레 문을 열고 스승의 방으로 들어섰다. 아랫목에는 따뜻한 찻물이 끓고 있었고, 벽엔 바람에 흩날리는 매화 그림이 걸려 있었다.“스승님, 시는 왜 써야 하고 읽어야 하나요?”달삼의 물음에 스승은 찻잔을 건네며 미소 지었다.“달삼아, 시는 말이 안 되는 마음에 말을 붙여주는 거란다.”“말이 안 되는 마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어요.”스승은 찻잔에서 피어오르는 김을 바라보며 천천히 말을 이었다.“우리 마음엔 가끔, 설명도 안 되고 이유도 없는 감정이 생기지. 기쁨도 슬픔도, 때로는 외로움도. 그런 마음을 꺼내어 다듬는 게 시란다. 말로 하긴 어렵지만, 짧은 시 한 줄이 그런 마음을.. 2025. 4. 8. 청람 서루, 봄날의 서정 ■ 청람 서루, 봄날의 서정 청람 김왕식햇살이 나뭇잎 사이로 뿌려질 때,그 빛은 무수한 시어로 쏟아진다. 겨우내 굳었던 대지에 첫 숨을 불어넣듯, 봄은 아무 말 없이 존재를 증명한다. 누군가의 사랑처럼, 또는 오래 묵은 용서처럼. 꽃이 핀다. 피어난다는 건 스스로를 열어 세상과 만나겠다는 결심이다. 살며 한 번쯤은, 말없이 핀 꽃 앞에 눈시울을 적셔본 적이 있을 것이다.들판에 흔들리는 유채꽃 무리, 그 노란 물결은 이별을 떠난 연인의 손수건 같고, 바람결에 스치는 벚꽃은 그리운 이름 하나가 피고 지는 순간을 닮았다. 그 이름을 부르지 않아도, 자연은 기억한다. 봄날의 서정은 말보다 깊고, 시보다 조용하다. 마.. 2025. 4. 8. 노오란빛 사이로 문학이 피어날 때 ■ 노오란 빛 사이로 문학이 피어날 때 파란 하늘 아래 노오란 개나리꽃이 흐드러진다. 햇빛은 그 꽃 사이를 조심스럽게 비집고 들어와, 제 빛깔을 한층 더 노랗게 물들이며 풍경의 한 부분이 된다. 그 빛은 따스하고 부드러워, 마치 분홍빛 향기가 은은히 풍겨올 것만 같다. 봄이 만든 색채의 삼중주는 자연의 손끝에서 조화롭게 울려 퍼진다. 파란 하늘, 푸른 물결, 노란 꽃송이. 이 세 가지 색은 봄이라는 계절의 노래가 되어 우리 가슴에 조용히 스며든다.호수 곁에는 능수버들이 바람에 실려 나부낀다. 그 가지의 흔들림은 마치 자연의 숨결 같아, 잠시 멈춰 서게 한다. 그 잔잔한 움직임에 이끌리기라도 한 듯, 잉어 한 마리가 물살을 가르며 다가온다. 물 위에 그려지는 유려한 곡선, 물고기의 움직임이 곧.. 2025. 4. 7. 고향의 봄은 달빛으로 운다 □국문과 재학 중군대 갔다.3월 접어들자고향 봄을 그리며병역수첩에깨알 같이끄적인 몇 줄옮긴다■ 고향의 봄은 달빛으로 운다 김왕식오동나무 가지 사이로 달빛이 흐른다누이의 손을 잡고 별을 줍던 기억처럼그 은빛은 오래된 숨결로 내 가슴을 어루만진다밤은 말이 없고, 달은 오래된 편지처럼 반짝인다감나무 끝이 바람에 떨릴 때마다어머니의 그림자가 장독대 사이로 스며들고졸린 삽살개는 꿈결 속을 헤엄친다기억은, 달빛을 타고 되돌아오는 작은 짐승이다해가 뜨면 앞마당에 생명이 돋는다병아리는 노란 낱말이고갓난 바둑이는 뒤뚱이는 웃음이다이름표 끝 하트가 아침을 흔들며 달린다나는 손바닥에 세상을 올려놓고삐약삐약 소리로 대답했다그 무렵 .. 2025. 3. 31.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