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을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 합니다.
  • '수필부문' 수상 등단, '평론부문' 수상 등단, '시부문' 수상 등단, 한국문학신문 공모 평론부문 대상 수상

전체 글103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5 삼국지 1ㅡ5■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ㅡ헌제를 앞세운 동탁, 천하가 흔들리다제1ㅡ5회. 헌제를 앞세운 동탁, 천하가 흔들리다― 허울뿐인 황제와 실질 권력자의 등장십상시가 무너지고 조정이 혼란에 빠진 틈을 타, 동탁이 드디어 군을 이끌고 수도 낙양에 입성한다. 그는 무장으로서 군세를 등에 업었고, 조정을 정화한다는 명분으로 황제의 인사권을 손에 쥔다. 어린 황제 소제를 폐위하고, 다른 황족 유협을 새 황제, 즉 헌제로 앉힌다. 이때부터 실질적인 권력은 동탁의 것이 된다.동탁은 자신의 뜻을 천자의 명이라 주장하며 모든 정사를 주무른다. 그는 환관보다 더 무자비했고, 기존의 질서에 얽매이지 않았다. 충신들은 숙청되었고, 누구도 그의 눈치를 벗어나지 못했다. 궁궐은 공포로 가득 찼고, .. 2025. 4. 17.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4 삼국지 1ㅡ4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ㅡ십상시와 왕윤의 계책제1ㅡ4회.십상시와 왕윤의 계책― 무너진 조정, 그 안의 암류들삼국지의 진짜 시작은 칼과 전쟁이 아니라, 말 없는 궁궐 안에서 벌어지는 음모와 술수에서 시작된다. 그 중심에 있는 존재가 바로 ‘십상시(十常侍)’라 불리는 환관 집단이다. 이들은 한나라 조정의 환관 중 열 명의 핵심 권력자로, 어린 황제를 등에 업고 국정을 좌지우지하며 부정과 착취로 나라를 병들게 만든다.십상시는 정치를 장난처럼 다루며, 충신을 내쫓고 간신을 끌어들였다. 대신들은 그들의 권력을 꺼려했고, 백성은 조정을 불신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황제 영제는 병으로 쓰러지고, 환관과 외척, 신하들 간의 권력 암투는 극에 달한다.이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 왕윤이..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3 삼국지 1ㅡ3■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ㅡ여포의 배신, 의와 욕망 사이제1ㅡ3회.여포의 배신, 의와 욕망 사이― 칼을 들고도 마음을 다스리지 못한 사내동탁의 권력은 이미 조정을 집어삼켰다. 백성은 숨을 죽였고, 조정은 그림자가 드리운 궁궐이 되었다. 누구도 감히 그를 막지 못했고, 황제는 이름만 존재했다. 그러나 절대 권력의 발밑엔 언제나 균열이 생긴다. 그리고 그 균열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시작되었다.동탁은 여포를 ‘양자’라 부르며 곁에 두었다. 여포는 세상 누구보다 강한 창술을 지녔고, 동탁은 그 힘에 기대어 궁정을 수호하려 했다. 그러나 힘은 의리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여포의 내면에는 이미 불만이 서려 있었고, 그의 감정은 동탁의 폭정과 잔인함을 보며 조금씩 멀어졌다.이때 왕..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2 삼국지 1ㅡ2■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난세의 지혜, 사람의 길제1ㅡ2회. 동탁의 폭정과 조조의 칼― 권력 앞에 선 인간의 진심황건적의 난이 진압된 후에도 세상은 평화롭지 않았다. 조정은 환관들의 손아귀에 있었고, 황제는 허울뿐인 존재였다. 정치의 중심은 도리와 법이 아닌, 술수와 거래였다. 백성은 여전히 고통받았고, 장차 ‘삼국’이라 불릴 시대의 주인공들은 하나둘 무대 위로 올라오기 시작한다.이 무렵, 후한의 황제 영제(靈帝)가 병으로 위독해졌다. 환관들과 대신들은 서로 후계자를 세우려 다투었고, 그 틈을 타 가장 악명 높은 무장이 조정에 들어선다. 그 이름은 동탁(董卓).서량 태수 출신의 장수였던 동탁은 본래 조정 밖의 인물이었으나, 황제의 죽음과 십상시의 몰락, 혼란한 권..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1 삼국지 1ㅡ1 ■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난세의 지혜, 사람의 길 ―제1회. 황건적의 난과 도원결의― 난세에 피어난 우정의 맹세 ―세상은 오래된 질서를 버리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할 때, 흔들리기 마련이다. 후한 말의 중국이 그랬다. 황제는 허울뿐이었고, 궁중에는 환관들이 득세했다. 십상시라 불리는 권력자들이 조정을 농락하고 백성을 수탈했다. 산과 들에는 도적 떼가 들끓고, 백성들은 굶주림에 쓰러졌다.이 혼돈 속에 나타난 이가 바로 장각이다. 그는 '태평도'라는 신흥 종교를 내세워 농민들의 절망을 파고들었다. 장각은 하늘이 바뀔 때가 되었다고 외쳤다. “창천은 이미 죽고, 황천이 이를 것이다(蒼天已死, 黃天當立)”라는 구호 아래, 전국 각지에서 ‘황건적’이 일어났다.황건적의 ..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1 □ 중학교 때 월탄 박종화의 삼국지를 처음 읽었다. 등장인물이 많아 이해하는데 쉽지 않았다. 하여 고우영의 만화 삼국지를 서너 번 읽어 디딤돌을 놓았다. 문해력이 유독 부족했던 내겐 제법 도움이 됐다. 고등학교 때 정비석 삼국지를 읽었다. 입시에 부담이 되어 마음이 뜬 상태라 제대로 읽지 못했다. 그후 이문열 삼국지를 메모하며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은 고교 국어교사로 재직 때 교지에 연재하고자 대학노트에 정리했던 것이다. 문예담당교사로 있으면서 여러 편집상의 문제로 결국 교지에 게재하지는 못했다. 이에 수십 년이 지난 지금, 평론을 간략하게 덧붙였고, '아쉬운 점' 파트는 내 주관대로 만지작거린 것이다. ..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