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3 낙화 ㅡ 시인 허태기 ■ 낙화 시인 허태기그리워 꽃잎 하나 띄워 봅니다임 오실까 여기저기 꽃잎 띄웁니다찢어지고 흩어져 뼈만 남을지라도떨어진 꽃잎 딛고 찾아 주시오면설혹 실망하여 발길 돌릴지라도저려 밟힌 아픔만으로도임의 사랑 넘치게 받았으니한 점 원망도 아니하겠습니다.■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허태기 시인의 '낙화'는 생의 마무리 혹은 관계의 끝에서조차 ‘사랑’을 긍정하며 받아들이는 시인의 따뜻한 내면 철학이 깃든 작품이다. 이 시는 꽃잎을 매개로 하여 임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하면서도, 기다림 속의 상처와 고통마저도 기꺼이 품으려는 태도를 통해 삶에 대한 겸허한 수용과 내면의 순결한 미학을 드러낸다.‘그리워 꽃잎 하나 띄워 봅니다’는 문장은 무언가를 .. 2025. 4. 23. 부르고 싶은 이름이 있다면 ㅡ 시인 허만길 ■ 부르고 싶은 이름이 있다면 시인 허만길외로워 못 견디도록 부르고 싶은다정한 이름이 있다면너는 너무도 행복한 사람임을 알라.그 사람이너의 가장 그리운 사람임을그가 모른다 해도불러 보지 않고는 잠들 수 없는다정한 이름을눈물겹도록 고이 간직하고 있다면너는 아무리 어두운 세상에서도너무도 행복한 사람임을 알라.오늘 밤은 유난히달이 밝고별이 빛나도다.지금 너의 마음이 텅 빈 듯이아프고 쓸쓸하다면,지금이라도 늦지 않나니,너의 가장 다정한한 사람의 이름을달빛에 찾아보고별빛에 새겨 보려무나.오늘 밤만이 아니라,먼 어느 날너의 세월이 한없이 괴롭고 쓰릴지라도그 이름 꿈속에서도사뿐사뿐 친구가 되고행복이 되고감미로운 사랑이 되어 다가올지니.■문학평.. 2025. 4. 23. 사랑의 결 ㅡ 시인 변희자 ■ 사랑의 결 시인 변희자 내 사랑은냇물 속 조약돌숲에 이는 바람푸른 하늘 파랑새대숲의 속삭임한겨울 하이얀 함박눈연둣빛 여린 새싹빠알간 딸기연분홍빛 솜사탕자줏빛 코스모스물안개 피는 강나팔꽃의 웃음이른 아침 새소리은은히 번지는 달빛찬란히 깨어나는 햇살그 모든 것보다내게 향한 너의 마음이나와 닮았으면 좋겠어흐트러짐 없이너의 마음 깊은 곳에서숨 쉬는 꽃이 되고 싶어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 ㅡ변희자 시인의 '사랑의 결'은 사랑을 향한 고요하고도 깊은 시선이 시 전체에 은은히 흐른다. 사랑이라는 단어를 소리 높여 외치지 않지만, 그 안에 담긴 결은 자연의 속살처럼 다정하고 섬세하다. 작.. 2025. 4. 23. 달빛 고인 고향 ㅡ 시인 변희자 ■ 달빛 고인 고향 시인 변희자달빛이 내를 건너와풀잎에 내려앉는 숲길은빛 가냘픈 빛결 따라산새가 날개 다듬고숲 뜰에는 바람도소곤소곤 노래를 한다그곳 너른 푸른 들녘숲을 낀 돌담 아래가만히 귀 기울이면비단금침 스치는 꿈결아련하여라달빛보다 더 다정한고향 숨결이 흐르고 있다■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이 시는 단순한 고향의 풍경을 노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리움의 중심에 ‘임’이 있음을 조용히 밝혀내는 작품이다. 달빛은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니라, 임을 향한 마음이 길을 건너와 닿는 정서적 매개로 작용한다.“달빛이 내를 건너와 / 풀잎에 내려앉는 숲길”은 그리운 이를 향한 감정이 고요히 퍼져가는 풍경화와도 같고, 마음이 가닿는 길목으로 읽힌다... 2025. 4. 19.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2ㅡ3 삼국지 2ㅡ3■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ㅡ여포와 동탁, 패륜의 끝제2ㅡ3회. 여포와 동탁, 패륜의 끝― 칼을 가르쳐준 자를 찌른 검후한 말 조정은 이미 부패할 대로 부패해 있었다. 십상시의 전횡으로 시작된 내부 붕괴는 황실의 권위를 무너뜨렸고, 동탁은 그 혼란을 틈타 낙양으로 진입해 정권을 장악한다. 그는 어린 황제 소제를 폐위시키고, 헌제를 새로 옹립함으로써 겉으로는 정통성을 확보했지만, 실제로는 무력을 앞세워 모든 권력을 휘둘렀다.동탁은 권신이자 무도한 독재자였다. 그가 명령하면 충신도, 원로도, 공경도 목숨을 보장받지 못했다. 백성들은 침묵했고, 조정은 칼과 불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런 동탁의 옆에는 한 사내가 있었다. 천하제일창 여포(呂布). 그가 동탁의 수하가 된 계기는 .. 2025. 4. 19. 잠든 트럭 위의 별빛 일기 ■ 잠든 트럭 위의 별빛 일기 자연인 안최호사월의 중턱을 넘긴 밤, 봄은 아직 오지 않은 듯하다. 별이 내려다보는 고요한 고속도로 한켠, 나는 트럭 위에서 잠을 청한다. 철판 위에 놓인 전기장판은 등에 온기를 전하지만, 얼굴은 바람에 씻기듯 시리다. 이불이 덮어주지 못하는 부위에는 계절의 이빨이 살짝씩 베어 문다. 트럭이라는 작은 세계는 오늘도 바퀴를 멈추고, 나의 하루도 그렇게 멈춰 선다.차내 온도는 영하 2도. 숫자는 차갑지만, 그 숫자 속엔 오늘 내가 벌어들인 노동의 체온이 배어 있다. 주차된 트럭은 마치 세상의 틈에 기댄 작은 배 같다. 고요한 밤바다에 닻을 내리고, 멀리서 오는 불빛은 등대처럼 나를 지켜본다.자유로운 삶이란 무엇일까. 어디에도 .. 2025. 4. 18.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