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을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 합니다.
  • '수필부문' 수상 등단, '평론부문' 수상 등단, '시부문' 수상 등단, 한국문학신문 공모 평론부문 대상 수상

청람김왕식17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1 삼국지 1ㅡ1 ■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난세의 지혜, 사람의 길 ―제1회. 황건적의 난과 도원결의― 난세에 피어난 우정의 맹세 ―세상은 오래된 질서를 버리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할 때, 흔들리기 마련이다. 후한 말의 중국이 그랬다. 황제는 허울뿐이었고, 궁중에는 환관들이 득세했다. 십상시라 불리는 권력자들이 조정을 농락하고 백성을 수탈했다. 산과 들에는 도적 떼가 들끓고, 백성들은 굶주림에 쓰러졌다.이 혼돈 속에 나타난 이가 바로 장각이다. 그는 '태평도'라는 신흥 종교를 내세워 농민들의 절망을 파고들었다. 장각은 하늘이 바뀔 때가 되었다고 외쳤다. “창천은 이미 죽고, 황천이 이를 것이다(蒼天已死, 黃天當立)”라는 구호 아래, 전국 각지에서 ‘황건적’이 일어났다.황건적의 ..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1 □ 중학교 때 월탄 박종화의 삼국지를 처음 읽었다. 등장인물이 많아 이해하는데 쉽지 않았다. 하여 고우영의 만화 삼국지를 서너 번 읽어 디딤돌을 놓았다. 문해력이 유독 부족했던 내겐 제법 도움이 됐다. 고등학교 때 정비석 삼국지를 읽었다. 입시에 부담이 되어 마음이 뜬 상태라 제대로 읽지 못했다. 그후 이문열 삼국지를 메모하며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은 고교 국어교사로 재직 때 교지에 연재하고자 대학노트에 정리했던 것이다. 문예담당교사로 있으면서 여러 편집상의 문제로 결국 교지에 게재하지는 못했다. 이에 수십 년이 지난 지금, 평론을 간략하게 덧붙였고, '아쉬운 점' 파트는 내 주관대로 만지작거린 것이다. .. 2025. 4. 14.
청람서루 방문기 ㅡ 시인 변희자 ■ 청람서루 방문기 시인 변희자어제까지만 해도 얇게 입으면 몸이 움츠러들었었다. 아직 아기 봄바람이따뜻한 가슴에 깃들려 하려는 것일 게다.오늘은 아기 봄바람 따뜻이 품고 친구와 일산을 가는 날이다. 마음 맞는 친구와의 봄나들이다. 친구의 핸드폰 문자가 떴다. 승강장으로 전철이 가고 있고, 3칸 1열에 앉아 있다고 한다.경쾌하고 느리게 다가오는 전철 사람들이 내리고 타는 틈으로보이는 친구의 모습 환한 웃음이꽃향기로 봄바람처럼 전해왔다.전철에 나란히 앉아 마주 보고 가볍게 안부를 묻고 주의 사람들 눈치를 보며 소곤소곤 이야기를 이어간다. 시간이 뒤로 가며 추억은 쌓이고 전철은 앞으로 앞으로 제 나아갈 길 서두름이 없다. 이 순간 이야기.. 2025. 4. 13.
문학, 상처 위에 피어난 연대의 언어 ■             문학, 상처 위에 피어난 연대의 언어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경사이자, 작가 개인의 성취를 넘어 한국 사회 전체가 돌아보아야 할 문화적 이정표다.그러나 수상 이후 일부 보수 진영에서 작품에 담긴 역사적 해석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문학이 정치의 그림자 아래서 논란의 대상이 되는 현실은 참으로 안타깝다.보수의 우려는 가볍게 여겨져선 안 된다. 그들의 상처는 오랜 세월 이념 갈등 속에서 반복된 오해와 누적된 분열의 기억 속에 뿌리내려 있다. 특히 소년이 온다>와 같은 작품이 한국 현대사 속의 비극을 다룰 때, 그 서술의 방향이 편향되어 있거나 일방적이라 느끼는 이들에게는 문학이 공감보다는 배제의 언어로 다가올 수 있다. 그들은 문학이.. 2025. 4. 13.
가슴에, 윤동주 한 사람 ■                     가슴에, 윤동주 한 사람                                          청람 김왕식 1.그는 바람처럼 조용했다.솜저고리 한 벌에도 마음을 접어 넣을 줄 알았고책 한 권에도 나라를 담아 넣을 줄 알았다.작은 주머니엔 늘 펜 하나,그보다 더 작은 주머니엔시보다 더 조용한 분노가 있었다.2.겨울 다다미 위, 젖은 종잇장처럼조용히 눕던 청춘 하나.늙은 제국의 혀끝에서그는 날마다 조국을 외웠다.그리고 매일,조국은 그의 뼈로 번역되었다.3.그는 웃는 얼굴로 시를 썼고울음 같은 목소리로 별을 썼다.별은 죽음보다 먼저 울었고그 울음은, 창백한 시멘트 바닥에눈뜨고 누운한 민족의 기도였다.4.어머니여, 그 아들을 기억하라.형제여, 그 형을 가슴에 두라.그가..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