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을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 합니다.
  • '수필부문' 수상 등단, '평론부문' 수상 등단, '시부문' 수상 등단, 한국문학신문 공모 평론부문 대상 수상

마음울리는글52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1ㅡ1 삼국지 1ㅡ1 ■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난세의 지혜, 사람의 길 ―제1회. 황건적의 난과 도원결의― 난세에 피어난 우정의 맹세 ―세상은 오래된 질서를 버리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할 때, 흔들리기 마련이다. 후한 말의 중국이 그랬다. 황제는 허울뿐이었고, 궁중에는 환관들이 득세했다. 십상시라 불리는 권력자들이 조정을 농락하고 백성을 수탈했다. 산과 들에는 도적 떼가 들끓고, 백성들은 굶주림에 쓰러졌다.이 혼돈 속에 나타난 이가 바로 장각이다. 그는 '태평도'라는 신흥 종교를 내세워 농민들의 절망을 파고들었다. 장각은 하늘이 바뀔 때가 되었다고 외쳤다. “창천은 이미 죽고, 황천이 이를 것이다(蒼天已死, 黃天當立)”라는 구호 아래, 전국 각지에서 ‘황건적’이 일어났다.황건적의 .. 2025. 4. 15.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과 함께 떠나는 삼국지 여행 1 □ 중학교 때 월탄 박종화의 삼국지를 처음 읽었다. 등장인물이 많아 이해하는데 쉽지 않았다. 하여 고우영의 만화 삼국지를 서너 번 읽어 디딤돌을 놓았다. 문해력이 유독 부족했던 내겐 제법 도움이 됐다. 고등학교 때 정비석 삼국지를 읽었다. 입시에 부담이 되어 마음이 뜬 상태라 제대로 읽지 못했다. 그후 이문열 삼국지를 메모하며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은 고교 국어교사로 재직 때 교지에 연재하고자 대학노트에 정리했던 것이다. 문예담당교사로 있으면서 여러 편집상의 문제로 결국 교지에 게재하지는 못했다. 이에 수십 년이 지난 지금, 평론을 간략하게 덧붙였고, '아쉬운 점' 파트는 내 주관대로 만지작거린 것이다. .. 2025. 4. 14.
비탈길 ■ 비탈길 김왕식 . 사람들은 힘들다 말하지만나는 올라가는 법보다버티는 법을 먼저 배웠다가장 낮은 곳이가장 단단해야 한다기울어진 삶에도버틸 자리는 있다 ㅡ 청람 2025. 4. 14.
헌책방 4화.■ 헌 책방헌 책방은 시간이 머무는 곳이다. 새 책의 반짝임은 사라졌지만, 그 자리에 누군가의 손때와 밑줄, 책갈피가 남아 있다. 정리된 지식보다는 어지러운 기억이, 깔끔한 글귀보다는 눌린 감정이 더 깊이 스며든다. 이곳에선 책이 말을 건다. 오래 기다렸다고, 지금 읽어달라고. 헌 책방은 그렇게, 한 권의 책으로 한 사람을 다시 꺼내어준다.□달삼은 좁은 골목 끝, 조용히 열린 책방 문을 밀었다. 종이 냄새와 함께 묵은 시간들이 얼굴을 스쳤다.서가마다 가지런하진 않아도, 각자의 자리에서 오랜 묵언을 지켜온 책들이 있었다.“스승님, 새 책방은 반짝이는데, 여긴 묘하게 눅진해요. 그런데 이상하게 마음은 더 가라앉아요.”스승은 문득 손에 들린 책 한 권을 가볍게 쓸며 .. 2025. 4. 14.
기러기의 날개 ■ 기러기의 날개한 줄로 날아가는 건함께 가기 위해서다먼저 선 그늘을뒤따라 나누기 위해서다앞선다는 건뒤를 위한 희생이다ㅡ 청람 2025. 4. 14.
흑백사진 ■ 흑백사진 색을 잃은 대신선명함이 남았다그때의 표정, 눈빛, 거리모든 게더 또렷이 보인다추억은지운 색 위에 선다 ㅡ 청람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