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학을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 합니다.
  • '수필부문' 수상 등단, '평론부문' 수상 등단, '시부문' 수상 등단, 한국문학신문 공모 평론부문 대상 수상

청람의평론14

파랑새가 머문 마음 ㅡ 시인 변희자 ■ 파랑새가 머문 마음 시인 변희자접어 두었던 마음 위에햇살이 스며들었어말없이 눈빛만으로 건네오던 다정함기적 같은 따뜻함이나에게 온 거야계절은 나를 안았고얼음장이 쨍하더니굳었던 마음이 녹았어햇살 같은 그 마음 따라영롱하게 괜찮아진 나구름 걷힌 파란 하늘에파랑새가 날아올랐어■ 다정함으로 피어난 내면의 기적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요즘 변희자 시인의 가슴에는 분명, 가슴 적시는 사랑이 있다.사랑의 연가가 계속된다.이번 시 '파랑새가 머문 마음'은 한 편의 조용한 연가이자, 가슴 밑바닥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아 회복의 서사다. 시인은 감정을 쏟아내는 대신, 고요한 결을 따라 사랑이 스며드는 순간을 포착한다. 언젠가 접.. 2025. 4. 18.
감성우편 ■                  감성 우편                         시인 변희자그냥 생각나고그으냥 보고 싶고이유는 모르겠어걸음은 아기 걸음마음이 바람결 따라살금살금 건너가그냥  생각나서자꾸 보고 싶어서말 안 해도 알아하트풍선 퐁퐁퐁以心傳心  우리 참 좋다■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변희자 시인의 '감성 우편'은 제목부터가 이미 한 통의 수줍은 편지다.시인은 ‘그냥’이라는 반복어 속에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감정의 본질을 담아낸다. 이유 없는 그리움, 이유 없는 보고픔—이 모든 감정은 오히려 말로 표현될 수 없기에 더 진실되고 순수하다. 그 마음은 '아기걸음'처럼 조심스럽고, '바람결 따라' 흐르는 듯 유연하면서도 진솔하다.이 시에서 가장 인상적인 구절은 “말 안 해도 알아 / 하트 풍선 퐁.. 2025. 4. 11.
한밭골에서의 하루 ■ 한밭골에서의 하루 시인 박진우한밭골의 봄햇살 아래오늘 몇 시간을살았다나 태어나 울 때처럼 낯선 날보는 이는 웃었다그때처럼이들은 환하게 웃어주었다웃음은 신선하였고참된 기쁨은낯선 얼굴들을가족으로 물 드렸다청람ㆍ소엽ㆍ안길근백영호 김윤미 김광오유숙희 노영선 이종식박진우이 이름들이 따뜻한기억이 되어뇌에 저장되었으니이제 어디에서든가족처럼 부를 수 있어나는 다시 태어난기쁨이다■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박진우의 시 '한밭골에서의 하루'는 ‘한밭골’이라는 공간적 배경 아래 펼쳐지는 짧고 따뜻한 체험을 통해, 삶의 근원적 기쁨과 공동체적 사랑을 조용히 증언한다.시인은 하루 동안 겪은 정서적 변화와 만남을 “태어나 울 때처럼 낯선 날”이라는 구절로 연결함.. 2025. 4. 11.
어느 시인의 슬픈 노래 ■                어느 시인의 슬픈 노래                           시인 서재용이 산 저 산흐드러지게 핀봄꽃들은 눈물도슬픔도 없어 좋겠다저마다아름다움 뽐낼 때양지바른 묘지 옆키 작은 할미꽃 하나늙기도 서럽거늘그대 할미꽃의눈물을 아는가?바람도 햇살도마음에 담아두면얼룩진 상처 흔들고까맣게 속 태울 때 있다아무리 영롱한 아침이슬도 마음밭에 품으면슬픈 눈물이 되고아무리 깊고 예쁜 사랑도지나간 후 상처가 되고추억이 되기도 하니연연하지 말고유유히 흐르는 강물처럼흘러가게 보내줘라■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서재용 시인의 '어느 시인의 슬픈 노래'는 찬란한 봄꽃을 배경으로 시대의 아픔과 존재의 슬픔을 은유적으로 담아낸 시이다. 피어나는 봄꽃들을 향해 “눈물도 슬픔도 없어 좋겠다”라고 토로하.. 2025. 4. 10.
껍데기는 가라 ㅡ 신동엽 ■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 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신동엽 시인(1930~1969)은 충청남도 부여 출신으로, 20세기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민족의식과 현실인식을 가장 강하게 드러낸 저항 시인 중 한 명이다.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중퇴하고 교직에 몸담으며 문학 활동을 지속하였고.. 2025. 4. 10.
천년의 잎 ■                      천년의 잎                                소엽 박경숙사위진 연기 자락산 그늘까지 번지던 날,차마 너의 안부를 묻지 못했다붉디붉은 침묵이지리산 골짝마다 스미는 동안너만은 살아있기를,그 바람조차 죄처럼 두 손 모았다한때,햇살 한 사발에 목욕하던뽀얀 잎의 숨결대숲 바람과 눈 맞던 너를잊은 적 없기에청명의 골짜기곡우의 빗물 한줄기 머금은 너를 다시 만나니그윽한 향으로 말없이 품어 안는다그을린 숨결 너머에도다시 피어나는 것이 찻잎이라면내 마음도 너처럼한나절 향기로나 살아도 좋으리■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ㅡ소엽 박경숙 시인은 자연과 삶을 분리하지 않고, 일상 속에서 존재의 본질을 가만히 길어 올리는 시를 써온 작가이다. 특히 차(茶)에 대한 사랑은 단.. 2025. 4. 10.